가문을 빛낸인물
분 류 고대인물
세(世) 22世
파(派) 수찬공 옹파
정지집(之鏶)
1693년∼1754년
조선후기 유학자. 자(字)는 성중(成仲)이고, 호는 병촉재(炳燭齋)이다. 용포(龍浦) 이유(李濰)와 청대(淸臺) 권상일(權相一)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오직 강학과 실천을 항상 염두하면서 위기지학(爲己之學)에 힘썼다. 호를‘병촉재’라 지은 이유는 늦도록 촛불을 밝혀 놓고 학문하기를 좋아하였기 때문이다.

문집으로 후손인 정원국(鄭源國)과 정건모(鄭建模) 등이 편집·간행한 4권 2책의 《병촉재문집(炳燭齋文集)》이 전하며, 이황(李滉)의 서간문을 편집하여 간행한《이자서절요(李子書節要)》의 서문(序文)을 쓰기도 하였다. 문집 속에는 자신의 영달을 바라지 않고 오직 학자의 청빈한 자세를 노래한〈영회(詠懷)〉정익하(鄭翊夏), 권두기(權斗紀), 안성세(安聖世), 홍범구(洪範龜)를 애도한 만시(輓詩) 등의 시구(詩句), 〈논어 학이말장환부지인변(論語學而末章患不知人辨)〉·〈독서법(讀書法)〉등의 글들이 실려 있다.
  0
3500
 
    제목     제목     제목     제목     제목     제목
정지우(之羽) 정지집(之鏶) 정지형(志亨) 정지호(之虎) [1] 정지화(知和) 정직조(稷朝) [1]
정진(振) 정진묵(晉黙) 정진화(鎭華) 정찬선(纘先) 정창선(敞選) 정창손(昌孫) [1]
정창연(昌衍) 정채화(采和) 정최조(최朝) [1] 정충량(忠樑) 정치순(致淳) 정치화(致和)
정태구(台耈) 정태래(泰來) 정태모(泰模) 정태언(泰彦) 정태제(泰齊) [1] 정태화(太和)
정택동(宅東) [1] 정표(彪) [1] 정필동(必東) 정필충(必忠) [2] 정학년(鶴年) 정학묵(學默) [1]
정한(澣) 정한기(漢驥) 정한룡(漢龍) [1] 정한모(漢模)2 정한모(翰謨)1 [1] 정항(沆)
정항조(恒朝) 정해택(海澤) [1] 정행오(行五) 정헌모(憲謨) [1] 정헌용(憲容) [1] 정헌조(憲朝) [1]
정혁선(赫先) [1] 정현룡(見龍) [1] 정현모(顯模) 정협(恊) 정형복(亨復) 정형익(亨益)
정형진(滎振) 정호의(好義) [1] 정호인(好仁) [1] 정혼(焜) 정홍겸(弘謙) 정홍상(弘祥)
정홍석(弘錫) 정홍순(弘淳) [1] 정홍원(弘遠) [1] 정홍익(弘翼) 정홍임(弘任) [1] 정홍좌(弘佐)
정화(和) 정화석(華錫) [1] 정화제(華齊) 정환(渙) 정훈모(燻謨) 정휘(徽)
정흠지(欽之) 정희등(希登) 정희량(希良) 정희증(希曾) [1] 정희홍(希弘) [2]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