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문을 빛낸인물
분 류 고대인물
세(世) 27世
파(派) 대호군공 인파
정지형(志亨)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효자로, 호는 벽계(碧溪). 1868년에 정문(旌門)이 내려졌다. 이후 그의 손부(孫婦)와 증손부(曾孫婦)도 열녀로 알려져 정문이 내려졌다. 그는 조선 순조 때 사람으로, 어려서부터 성품이 효성스럽고 남달리 총명하였다. 아버지가 병으로 몸져눕자, 여러 방면으로 약을 구하고 밤이면 마당에서 아버지가 낫기를 간절히 빌었다. 이후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예(禮)를 다하여 장례를 치른 후 3년 동안 곡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유학자들이 추천하고, 관찰사 서상정(徐相鼎)이 조정에 아뢰어, 1868년 4월에 정문이 내려졌다.

그의 손부(孫婦)인 김제 조씨(趙氏)는 타고난 성품이 정숙하고 규범을 잘 지켰다. 남편인 성균 진사(成均進士) 정환석(鄭桓奭)이 병들어 모든 약이 소용없자, 손가락을 셋이나 잘라 그 피로 목숨을 잇게 하고, 허벅지의 살을 베어 약을 달여 먹이니, 그 정성이 하늘에 닿아 7년 동안을 더 살았다고 전한다. 관찰사 윤영신이 조정에 아뢰어 정문을 세웠다.
그의 증손부 경주이씨(李氏)는 통덕랑(通德郞) 정방섭(鄭邦變)의 아내로, 시어머니가 병으로 몸져눕자, 손가락을 찢어 피를 올렸다. 또 남편이 오랫동안 병으로 고생하자, 축대를 쌓아 단을 만들고 8년 동안 하루도 거르지 않고 빌었다. 그 동안 열 번이나 손가락을 찢고 세 번이나 허벅지의 살을 베어 정성을 다하였다. 이후 남편이 세상을 떠나자, 스스로 목숨을 끊어 뒤를 따랐다. 관찰사 이헌식이 조정에 아뢰어 정문을 세웠다.

현재 경남 김제시 장화동에‘효자 증통훈대부 사헌부지평 정지형지려(孝子 贈通訓大夫司憲府持平鄭志亨之閭)’와‘열녀 성균진사 정환석지처 의인김제조씨(烈女成均進士鄭桓奭之妻宜人金堤趙氏)’그리고‘열녀 통덕랑 정방변지처 공인경주이씨지려(烈女通德郞鄭邦變之妻恭人慶州李氏之閭)’가 모두 있다.
  0
3500
 
    제목     제목     제목     제목     제목     제목
정지우(之羽) 정지집(之鏶) 정지형(志亨) 정지호(之虎) [1] 정지화(知和) 정직조(稷朝) [1]
정진(振) 정진묵(晉黙) 정진화(鎭華) 정찬선(纘先) 정창선(敞選) 정창손(昌孫) [1]
정창연(昌衍) 정채화(采和) 정최조(최朝) [1] 정충량(忠樑) 정치순(致淳) 정치화(致和)
정태구(台耈) 정태래(泰來) 정태모(泰模) 정태언(泰彦) 정태제(泰齊) [1] 정태화(太和)
정택동(宅東) [1] 정표(彪) [1] 정필동(必東) 정필충(必忠) [2] 정학년(鶴年) 정학묵(學默) [1]
정한(澣) 정한기(漢驥) 정한룡(漢龍) [1] 정한모(漢模)2 정한모(翰謨)1 [1] 정항(沆)
정항조(恒朝) 정해택(海澤) [1] 정행오(行五) 정헌모(憲謨) [1] 정헌용(憲容) [1] 정헌조(憲朝) [1]
정혁선(赫先) [1] 정현룡(見龍) [1] 정현모(顯模) 정협(恊) 정형복(亨復) 정형익(亨益)
정형진(滎振) 정호의(好義) [1] 정호인(好仁) [1] 정혼(焜) 정홍겸(弘謙) 정홍상(弘祥)
정홍석(弘錫) 정홍순(弘淳) [1] 정홍원(弘遠) [1] 정홍익(弘翼) 정홍임(弘任) [1] 정홍좌(弘佐)
정화(和) 정화석(華錫) [1] 정화제(華齊) 정환(渙) 정훈모(燻謨) 정휘(徽)
정흠지(欽之) 정희등(希登) 정희량(希良) 정희증(希曾) [1] 정희홍(希弘) [2]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