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문을 빛낸인물
분 류 고대인물
세(世) 18世
파(派) 수찬공 옹파
정언굉(彦宏)
1569∼1640
자(字)는 여곽(汝廓), 호(號)는 서계(西溪). 아버지는 승조(承祖)이며, 어머니는 함녕김씨로 염(恬)의 딸이다. 1603년(선조36)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였고, 1606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였다. 이듬해 성균관 학유(學幼)에 제수되었고, 1609년(광해군1) 학록(學錄)겸 봉상시봉사(奉常寺奉事), 이듬해 학정(學正 :조선 시대 성균관의 종9품 벼슬)·박사에 승진되었다.

다음해 승문원주서 겸 춘추관기사관에 이어 성환도찰방(成歡道察訪)·성균관전적 등을 지냈다. 1613년 호조정랑에 체직된 뒤 곧 금교도찰방(金郊道察訪)에 전직되었다. 1614년 일본에 사신으로 다녀와서 혼조(昏朝)의 기미가 있으므로 관직을 버리고 낙향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고성군수에 특채되어 그간 혼조로 인하여 퇴폐되었던 군정(郡政)을 일신하였다.

이듬해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향리의 동지를 규합하여 의병장이 되어 적을 토벌하기 위하여 문경의 조령(鳥嶺)에 도착하였으나, 평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해산하였다. 왕이 이 소식을 듣고 가상히 여겨 군자감정 겸 선공감정(繕工監正)에 배수하였다. 이듬해 청송부사가 되었다가 1631년 예빈시정((禮賓寺正), 이듬해 승문원판교에 각각 제수되었다. 1636년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서 굴욕적인 맹세를 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낙향하여 학문연구와 후진양성에 전념하였다. 저서로는《서계문집》 2권이 있다. 옥동원(玉洞院)에 제향(祭享) 되었다.
  0
3500
 
    제목     제목     제목     제목     제목     제목
정순검(純儉) 정순우(純祐) 정순조(順朝) [1] 정승모(承謨) [1] 정시선(是先) 정시수(時修)
정시용(始容) 정양생(良生) 정양순(養淳) 정양우(良佑) [1] 정양윤(良胤) 정양필(良弼) [1]
정언겸(彦謙) [1] 정언굉(彦宏) 정언룡(彦龍) 정언상(彦祥) 정언섬(彦暹) 정언섭(彦燮)
정언승(彦昇) 정언신(彦信) 정언욱(彦郁) 정언유(彦儒) 정언인(彦仁) [1] 정언지(彦智)
정언충(彦忠)1 정언충(彦忠)2 [1] 정언형(彦衡) [1] 정여강(汝康) [1] 정여립(汝立) 정연(淵)
정연순(淵淳) [1] 정영방(榮邦) 정영조(永朝) 정영후(榮後) 정예용(禮容) 정옹(雍) [1]
정완(浣) 정완묵(完黙) 정요성(堯性) 정요천(堯天) 정우순(宇淳) 정우용(友容)1 [1]
정우용(愚容)2 정욱(煜) 정운길(雲吉) [1] 정원(源) [1] 정원순(元淳) 정원용(元容)
정유(泑)1 [1] 정유(攸)2 정유길(惟吉) 정유문(惟文) [2] 정유영(維榮) [2] 정유인(維仁) [1]
정유일(惟一) 정유지(維地) 정유청(惟淸) 정윤교(允喬) 정윤노(允老) 정윤용(允容)
정윤후(允厚) 정은모(殷模) 정은조(誾朝) [1] 정응(譍) 정응두(應斗) 정의진(義鎭)
정이검(履儉) [1] 정이수(履綏) 정이우(而虞) 정이재(以載) 정이한(而漢) 정익동(翊東)
정익용(翼容) 정익조(益朝)1 정익조(翊朝)2 정인(絪) 정인겸(仁謙) 정인보(寅普)
정인석(寅奭)1 정인석(寅錫)2 정인섭(寅燮) [1] 정인성(寅性)1 정인성(寅星)2 정인수(仁壽)1
정인수(仁壽)2 정인수(寅壽)3 [1] 정인승(寅承)1 정인승(寅昇)2 [1] 정인오(寅五) [2] 정인욱(寅昱) [1]
정인진(寅鎭) [1] 정인탁(仁卓) 정인표(寅杓) 정인학(寅學) [1] 정인협(寅協) [1] 정인형(寅衡) [1]
정인호(寅琥) 정인흥(寅興) [1] 정일상(一祥) [1] 정자당(子堂) 정재(梓) 정재대(載岱)
정재륜(載崙) 정재숭(載嵩) 정재용(在容) 정재항(載恒) 정재해(載海) 정재희(載禧)
정전(荃 ) 정절(節) 정제선(濟先) 정조(慥) 정존겸(存謙) [1] 정존중(存中)
정존후(存厚)1 [1] 정존후(存厚)2 [1] 정종(種) 정종덕(宗德) 정종엽(鐘燁) 정종주(宗周)
정주(賙) 정주묵(周黙) [1] 정주응(周應) [1] 정준용(駿容) 정중대(重岱) 정지(摯)
정지검(志儉) 정지경(之經) 정지번(之蕃) 정지선(趾善) [1] 정지연(芝衍) 정지용(知容) [1]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