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문을 빛낸인물
분 류 고대인물
세(世) 16世
파(派) 현령공 효경파
정응(譍)
1490∼1522
자(字)는 응지(譍之) 호는 소우당(素愚堂). 돈녕부정 인후(仁厚)의 아들이다. 1507년(중종2) 사마시에 합격한 뒤 1514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홍문관정자에 초수(初授)되었으며, 1516년 김정(金淨)·신광한(申光漢) 등과 함께 사가독서(賜暇讀書)한 뒤 전경·저작·박사를 역임하였고, 이어 경연사경(經筵司經)에 재임 중 내수사(內需司) 장리(長利)의 혁파 등 구제(舊制)의 혁파를 주장하였다. 이어 홍문관수찬에 승보(陞補)되었고, 사간원정언으로 대사헌 이행(李荇)을 탄핵하여 면직하게 하였으며, 그 뒤 예조·병조의 좌랑을 거쳐 홍문관교리에 임명되었다.

1518년 지평으로 전보되었는데, 이때 훈구파로부터 조광조(趙光祖)를 영수로 하는 사림파 집단으로 지목되어 모함을 받기도 하였으며, 같은 해 성리학의 이론서인《성리대전 性理大全》을 진강(進講)할 수 있는 인물로 추천되었다. 그 뒤 헌납을 거쳐 1519년 이조정랑을 역임한 뒤 홍문관응교를 거쳐, 전한 겸 예문관응교로 발탁되었다.

그 해 겨울 훈구파인 남곤(南袞)·심정(沈貞) 등에 의하여 기묘사화가 일어나자, 조광조의 무죄를 주청하였으며, 결국 이에 연루되어 부여로 유배당하였고, 1522년 적소에서 33세로 별세하였다. 사림파의 영수인 조광조로부터 크게 쓰일 인물로 촉망을 받았으며, 기묘사화 이전의 개혁정치 시기에 사림파로서 전통적 명분의 회복, 새로운 통치 질서의 수립 등에 기여한 바가 많았다.
  0
3500
 
    제목     제목     제목     제목     제목     제목
정순검(純儉) 정순우(純祐) 정순조(順朝) [1] 정승모(承謨) [1] 정시선(是先) 정시수(時修)
정시용(始容) 정양생(良生) 정양순(養淳) 정양우(良佑) [1] 정양윤(良胤) 정양필(良弼) [1]
정언겸(彦謙) [1] 정언굉(彦宏) 정언룡(彦龍) 정언상(彦祥) 정언섬(彦暹) 정언섭(彦燮)
정언승(彦昇) 정언신(彦信) 정언욱(彦郁) 정언유(彦儒) 정언인(彦仁) [1] 정언지(彦智)
정언충(彦忠)1 정언충(彦忠)2 [1] 정언형(彦衡) [1] 정여강(汝康) [1] 정여립(汝立) 정연(淵)
정연순(淵淳) [1] 정영방(榮邦) 정영조(永朝) 정영후(榮後) 정예용(禮容) 정옹(雍) [1]
정완(浣) 정완묵(完黙) 정요성(堯性) 정요천(堯天) 정우순(宇淳) 정우용(友容)1 [1]
정우용(愚容)2 정욱(煜) 정운길(雲吉) [1] 정원(源) [1] 정원순(元淳) 정원용(元容)
정유(泑)1 [1] 정유(攸)2 정유길(惟吉) 정유문(惟文) [2] 정유영(維榮) [2] 정유인(維仁) [1]
정유일(惟一) 정유지(維地) 정유청(惟淸) 정윤교(允喬) 정윤노(允老) 정윤용(允容)
정윤후(允厚) 정은모(殷模) 정은조(誾朝) [1] 정응(譍) 정응두(應斗) 정의진(義鎭)
정이검(履儉) [1] 정이수(履綏) 정이우(而虞) 정이재(以載) 정이한(而漢) 정익동(翊東)
정익용(翼容) 정익조(益朝)1 정익조(翊朝)2 정인(絪) 정인겸(仁謙) 정인보(寅普)
정인석(寅奭)1 정인석(寅錫)2 정인섭(寅燮) [1] 정인성(寅性)1 정인성(寅星)2 정인수(仁壽)1
정인수(仁壽)2 정인수(寅壽)3 [1] 정인승(寅承)1 정인승(寅昇)2 [1] 정인오(寅五) [2] 정인욱(寅昱) [1]
정인진(寅鎭) [1] 정인탁(仁卓) 정인표(寅杓) 정인학(寅學) [1] 정인협(寅協) [1] 정인형(寅衡) [1]
정인호(寅琥) 정인흥(寅興) [1] 정일상(一祥) [1] 정자당(子堂) 정재(梓) 정재대(載岱)
정재륜(載崙) 정재숭(載嵩) 정재용(在容) 정재항(載恒) 정재해(載海) 정재희(載禧)
정전(荃 ) 정절(節) 정제선(濟先) 정조(慥) 정존겸(存謙) [1] 정존중(存中)
정존후(存厚)1 [1] 정존후(存厚)2 [1] 정종(種) 정종덕(宗德) 정종엽(鐘燁) 정종주(宗周)
정주(賙) 정주묵(周黙) [1] 정주응(周應) [1] 정준용(駿容) 정중대(重岱) 정지(摯)
정지검(志儉) 정지경(之經) 정지번(之蕃) 정지선(趾善) [1] 정지연(芝衍) 정지용(知容) [1]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