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문을 빛낸인물
분 류 고대인물
세(世) 31世
파(派) 대호군공 인파
정종엽(鐘燁)
1885~1940 .
일제강점기 유학자. 자(字)는 택신(宅新 또는 澤信)이고, 호는 수당(修堂)이다. 전라북도 진안군(鎭安郡) 마령면(馬靈面) 계남리(溪南里) 출신이다. 증조부는 수세(需世), 조부는 인민(寅敏), 아버지는 성모(聖謨)이다. 외조부는 천안전씨(天安全氏) 전용석(全龍錫)이다.

公은 어렸을 때부터 학문에 뛰어나, 간재(艮齋) 전우(田愚)와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을 만나 성리학을 토론할 정도였다. 그리고 구한말(舊韓末) 의병장인 습재(習齋) 최제학(崔濟學), 정재(靜齋) 이석용(李錫庸)과는 도의로 친교를 맺어 교유하였다. 일제강점기 때는 초야에 묻혀 후진을 양성하는 데 힘을 썼다. 진안군 마령면의 내산사(萊山祠)에 배향되었으며, 문집으로 《수당유고(修堂遺稿)》가 있다. 《수당유고(修堂遺稿)》는 2권이며, 구성은 시(詩), 서(書), 설(說), 서(序), 기(記), 잠(箴), 문경(問警), 제문(祭文), 행장(行狀), 전(傳), 묘갈명(墓碣銘), 묘표(墓表), 녹(錄), 부록(附錄) 등으로 되어 있다.
  0
3500
 
    제목     제목     제목     제목     제목     제목
정순검(純儉) 정순우(純祐) 정순조(順朝) [1] 정승모(承謨) [1] 정시선(是先) 정시수(時修)
정시용(始容) 정양생(良生) 정양순(養淳) 정양우(良佑) [1] 정양윤(良胤) 정양필(良弼) [1]
정언겸(彦謙) [1] 정언굉(彦宏) 정언룡(彦龍) 정언상(彦祥) 정언섬(彦暹) 정언섭(彦燮)
정언승(彦昇) 정언신(彦信) 정언욱(彦郁) 정언유(彦儒) 정언인(彦仁) [1] 정언지(彦智)
정언충(彦忠)1 정언충(彦忠)2 [1] 정언형(彦衡) [1] 정여강(汝康) [1] 정여립(汝立) 정연(淵)
정연순(淵淳) [1] 정영방(榮邦) 정영조(永朝) 정영후(榮後) 정예용(禮容) 정옹(雍) [1]
정완(浣) 정완묵(完黙) 정요성(堯性) 정요천(堯天) 정우순(宇淳) 정우용(友容)1 [1]
정우용(愚容)2 정욱(煜) 정운길(雲吉) [1] 정원(源) [1] 정원순(元淳) 정원용(元容)
정유(泑)1 [1] 정유(攸)2 정유길(惟吉) 정유문(惟文) [2] 정유영(維榮) [2] 정유인(維仁) [1]
정유일(惟一) 정유지(維地) 정유청(惟淸) 정윤교(允喬) 정윤노(允老) 정윤용(允容)
정윤후(允厚) 정은모(殷模) 정은조(誾朝) [1] 정응(譍) 정응두(應斗) 정의진(義鎭)
정이검(履儉) [1] 정이수(履綏) 정이우(而虞) 정이재(以載) 정이한(而漢) 정익동(翊東)
정익용(翼容) 정익조(益朝)1 정익조(翊朝)2 정인(絪) 정인겸(仁謙) 정인보(寅普)
정인석(寅奭)1 정인석(寅錫)2 정인섭(寅燮) [1] 정인성(寅性)1 정인성(寅星)2 정인수(仁壽)1
정인수(仁壽)2 정인수(寅壽)3 [1] 정인승(寅承)1 정인승(寅昇)2 [1] 정인오(寅五) [2] 정인욱(寅昱) [1]
정인진(寅鎭) [1] 정인탁(仁卓) 정인표(寅杓) 정인학(寅學) [1] 정인협(寅協) [1] 정인형(寅衡) [1]
정인호(寅琥) 정인흥(寅興) [1] 정일상(一祥) [1] 정자당(子堂) 정재(梓) 정재대(載岱)
정재륜(載崙) 정재숭(載嵩) 정재용(在容) 정재항(載恒) 정재해(載海) 정재희(載禧)
정전(荃 ) 정절(節) 정제선(濟先) 정조(慥) 정존겸(存謙) [1] 정존중(存中)
정존후(存厚)1 [1] 정존후(存厚)2 [1] 정종(種) 정종덕(宗德) 정종엽(鐘燁) 정종주(宗周)
정주(賙) 정주묵(周黙) [1] 정주응(周應) [1] 정준용(駿容) 정중대(重岱) 정지(摯)
정지검(志儉) 정지경(之經) 정지번(之蕃) 정지선(趾善) [1] 정지연(芝衍) 정지용(知容) [1]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