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문을 빛낸인물
분 류 고대인물
세(世) 19世
파(派) 직제학공 사파
정언룡(彦龍)
1554~?
호(號)는 노봉(老峰). 인각(麟角)의 아들, 그의 조상은「충(忠)과 효(孝)는 전가(傳家)의 규범이요, 밭 갈고 글 읽는 것은 몸을 지키는 규정(規定)」이라는 시를 지어 두고 자녀들을 교육시켰다. 이같이 엄한 가훈 속에서 자라던 그는 어릴 적부터 글 읽고 배우면서 무술을 연마하였다. 청년이 되어서는 선비의 자질을 능히 갖추고 또한 비범하고 용력이 대담한 무인으로 손색이 없었다. 그는 문무의 재질을 나라에 봉공하려던 참에 직전 임진왜란이 일어났다. 부산첨사 정발장군이 전사하고 이어 동래성으로 침공한다는 급히 의병을 모아 동래성으로 향했다. 기찰정에 다달아 피난민들에게 들은 즉 동래부사 송상현공이 전사하고 성은 왜병들에게 빼앗겼다는 소식에 대성통곡을 하였다.

경상좌병사 이각(李珏)은 동래성이 함락되자 인근 소산역(蘇山驛)에 피신하였고 지원하러 오던 밀양부사 박진(朴晋)도 동래성이 함락되었다는 것을 알고는 더 나아가지 못했다. 공(公) 등은 이 같은 사실을 알고 소산역으로 가서 관군들과 합세하였다. 왜군들이 소산역으로 밀려오자 좌병사 이각은 관군들을 이끌고 언양성으로 다시 후퇴하고 울산까지 달아났다. 그러나 공(公)은 후퇴만 거듭하는 이각부대에서 이탈하여 이 고장 쪽으로 회군하면서 유격전을 폈다.
그러면서 한편으로 난민을 도와 이들을 구제하기도 했다. 육지에서는 왜군들과 싸우는 것이 거의 불가능해진 의병들은 고장의 어선을 징발하여 해안을 누비면서 왜선들을 격멸하는 등 공을 세웠다. 이렇게 해전이 익숙해진 정장군은 1593년 들어 의병들을 데리고 이순신장군의 휘하로 들어가 종군했다. 이들은 관군과 함께 통영 앞바다 해전에서 큰 공을 세웠다. 이렇듯 육지에서 바다에서 적과 큰 전투에 참전하고 있던 어느 날 고향에서 어머니가 위급하다는 전갈을 받았다.
공(公)은 평소 충효가 대단한 인물로 한편으로 나라를 위해서 봉공하면서 효 또한 버릴 수 없었다. 싸움의 소강상태를 이용하여 3백리 길을 밤낮 없이 달려 어머니 옆으로 왔다. 거의 의식불명 속에서 사경을 헤매고 있던 어머니는 아들의 손을 겨우 잡고「지금 나라가 위태롭고 상감께서 곤욕을 당하시느라 조석으로 방려할 수 없거늘 너는 어찌하여 전장에서 되돌아 왔느냐」고 노했다.

공(公)은 고장에서 다시 의병들을 모아 그 대장이 되어 정유재란이 끝날 때까지 왜군들을 곳곳에서 죽이고 식량을 빼앗아 많은 난민을 구제했다. 임진왜란이 평정되고, 인조 14년(1636) 나라에서 소명했으나 나가지 않고 있다가 이듬해 84세로 별세했다. 조정에서는 창의토적의 큰 공을 찬양하고 통정대부 사복시직장에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2등훈으로 훈록하였다.
또 이충무공 휘하에서 왜군들의 섬멸에 많은 공을 세운 정인정(삼촌)은 임란 뒤 향리로 돌아와 향풍을 바르게 이끌면서 살다 여생을 마쳤다. 이 두 분은 모두 사정단소에 봉향되었다.
  0
3500
 
    제목     제목     제목     제목     제목     제목
정순검(純儉) 정순우(純祐) 정순조(順朝) [1] 정승모(承謨) [1] 정시선(是先) 정시수(時修)
정시용(始容) 정양생(良生) 정양순(養淳) 정양우(良佑) [1] 정양윤(良胤) 정양필(良弼) [1]
정언겸(彦謙) [1] 정언굉(彦宏) 정언룡(彦龍) 정언상(彦祥) 정언섬(彦暹) 정언섭(彦燮)
정언승(彦昇) 정언신(彦信) 정언욱(彦郁) 정언유(彦儒) 정언인(彦仁) [1] 정언지(彦智)
정언충(彦忠)1 정언충(彦忠)2 [1] 정언형(彦衡) [1] 정여강(汝康) [1] 정여립(汝立) 정연(淵)
정연순(淵淳) [1] 정영방(榮邦) 정영조(永朝) 정영후(榮後) 정예용(禮容) 정옹(雍) [1]
정완(浣) 정완묵(完黙) 정요성(堯性) 정요천(堯天) 정우순(宇淳) 정우용(友容)1 [1]
정우용(愚容)2 정욱(煜) 정운길(雲吉) [1] 정원(源) [1] 정원순(元淳) 정원용(元容)
정유(泑)1 [1] 정유(攸)2 정유길(惟吉) 정유문(惟文) [2] 정유영(維榮) [2] 정유인(維仁) [1]
정유일(惟一) 정유지(維地) 정유청(惟淸) 정윤교(允喬) 정윤노(允老) 정윤용(允容)
정윤후(允厚) 정은모(殷模) 정은조(誾朝) [1] 정응(譍) 정응두(應斗) 정의진(義鎭)
정이검(履儉) [1] 정이수(履綏) 정이우(而虞) 정이재(以載) 정이한(而漢) 정익동(翊東)
정익용(翼容) 정익조(益朝)1 정익조(翊朝)2 정인(絪) 정인겸(仁謙) 정인보(寅普)
정인석(寅奭)1 정인석(寅錫)2 정인섭(寅燮) [1] 정인성(寅性)1 정인성(寅星)2 정인수(仁壽)1
정인수(仁壽)2 정인수(寅壽)3 [1] 정인승(寅承)1 정인승(寅昇)2 [1] 정인오(寅五) [2] 정인욱(寅昱) [1]
정인진(寅鎭) [1] 정인탁(仁卓) 정인표(寅杓) 정인학(寅學) [1] 정인협(寅協) [1] 정인형(寅衡) [1]
정인호(寅琥) 정인흥(寅興) [1] 정일상(一祥) [1] 정자당(子堂) 정재(梓) 정재대(載岱)
정재륜(載崙) 정재숭(載嵩) 정재용(在容) 정재항(載恒) 정재해(載海) 정재희(載禧)
정전(荃 ) 정절(節) 정제선(濟先) 정조(慥) 정존겸(存謙) [1] 정존중(存中)
정존후(存厚)1 [1] 정존후(存厚)2 [1] 정종(種) 정종덕(宗德) 정종엽(鐘燁) 정종주(宗周)
정주(賙) 정주묵(周黙) [1] 정주응(周應) [1] 정준용(駿容) 정중대(重岱) 정지(摯)
정지검(志儉) 정지경(之經) 정지번(之蕃) 정지선(趾善) [1] 정지연(芝衍) 정지용(知容) [1]
123